티스토리 뷰

목차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량,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를 넘어서다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북한의 비트코인 보유량 소식을 전해드리려 합니다. 최근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양이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보유한 양보다 많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는데요,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을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북한의 비트코인, 테슬라보다 많다?

     

    암호화폐 전문매체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최근 암호화폐 추적 회사인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의 조사 결과, 북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Lazarus)가 무려 1만3441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11억4000만 달러(약 1조6700억원)에 달하는 엄청난 액수인데요. 참고로 테슬라는 현재 1만1509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상장회사 중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양입니다. 즉,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은 테슬라보다 무려 약 16%나 많은 양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북한의 보유 수(sbs)

    북한, 어떻게 비트코인을 축적했을까?

     

    북한이 이렇게 많은 양의 비트코인을 확보하게 된 배경은 다름 아닌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때문입니다. 북한의 라자루스 그룹은 세계적인 거래소들을 지속적으로 공격해 거대한 자금을 빼돌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달 라자루스 그룹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비트(Bybit)를 공격하여 무려 14억 달러 규모의 이더리움을 훔친 후, 그 중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전환해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해킹을 통한 암호화폐 축적은 북한의 새로운 자금 확보 방식으로, 국제사회가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바이비트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 선언!

     

    이런 상황 속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열린 가상자산 콘퍼런스에서 미국을 "명실상부한 비트코인 초강대국이자 세계 암호화폐 수도"로 만들겠다는 기존의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절대 이를 매각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는데요. 이 발언은 과거 그가 대선 공약으로 발표했던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미국이 미래 금융기술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적 의지를 나타낸 것입니다.

     

    더불어 그는 달러와 연계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미 의회에 관련 법안의 신속한 처리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북한 비트코인, 국제사회의 고민은?

     

    한편, 북한의 해킹 그룹이 보유한 막대한 양의 비트코인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이 보유한 비트코인이 자금 세탁이나 불법적인 거래에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 정부는 현재 돈세탁과 같은 범죄 행위를 통해 압수한 19만8109개의 비트코인(약 160억 달러, 한화 약 23조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암호화폐 전략 준비금을 추진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전략은 북한과 같은 비합법적 주체의 활동을 억제하고 미국의 금융안보를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이번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공개는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뿐 아니라 국제적인 안보 이슈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큽니다. 북한과 같은 불법 해킹 조직의 활동을 막기 위해서는 국제 공조와 보다 강력한 사이버 보안 대책이 요구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중심 암호화폐 시장 육성 전략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이 암호화폐 수도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북한의 불법 해킹 조직 활동에 어떤 대응책이 마련될지 국제사회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